이산가족이 된 덕수
1950년 한반도는 6.25 전쟁이라는 큰 아픔을 겪고 있었습니다. 주인공 덕수(황정민)와 그의 가족들은 서로의 손을 붙잡고 피난 중입니다. 피난민들이 미군에 배에 서로 올라타려고 아우성을 치고 덕수는 여동생 막순이를 붙잡고 배에 오르지만 그만 옷소매가 찢어지면서 놓치게 됩니다. 아버지(정진영)는 앞으로 덕수가 집안을 책임져야 한다고 하고 막순이를 찾으러 배에서 내려가면서 그렇게 이들은 헤어지게 되는데, 덕수의 고모(라미란)는 부산에서 꽃분이네라는 상점을 운영 중인데 이곳에서 덕수와 어머니(장영남)와 남동생 승규 또 다른 여동생 끝순이는 함께 얹혀살면서 아버지를 기다립니다.
가장이 된 덕수
그곳에서 학교를 다니게 된 덕수는 친구 달구(오달수)를 만나 함께 구두를 닦는데 아버지를 찾기 위해 목에 팻말을 달고 다니면서 가족을 위해 최선을 다합니다. 어느덧 어른이 된 덕수는 가족들의 생활비와 승규의 서울대학교 학비를 벌기 위해 고군분투하는데 그러던 중 독일로 파견되는 광부 모집 공고를 보고 달구와 함께 지원합니다. 체력시험날 덕수와 달수는 떨어질 위기에 처하지만 넘쳐나는 애국심을 보여주어 심사위원들로부터 통과를 받아 함께 독일로 떠나게 됩니다. 광산 일은 돈을 많이 버는 만큼 힘들고 고된 작업이었지만 가족들을 생각하며 꿋꿋하게 버팁니다. 광산에서의 힘든 생활중 독일 간호사로 파견 와서 힘들게 일을 하고 있는 영자(김윤진)를 만나 서로 사랑을 하게 되는데 어느 날 광산이 무너지는 큰 사고가 나면서 덕수와 달구는 갇히게 됩니다. 이에 놀란 영자가 뛰어가 보지만 사고 현장이 다시 무너질까 현지인들은 못 들어가게 하고 먼 타지에서 동료를 죽게 할 수 없다는 한국 인부들의 노력으로 갇혔던 그들은 구조가 됩니다. 덕수는 영자가 일하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지만 비자가 만료되어 한국으로 돌아가게 되고 영자는 남게 되면서 둘은 헤어집니다. 한국으로 돌아온 덕수는 가족들의 환대를 받으며 행복한 시간을 보내는데 그로부터 3개월 뒤 어느 날 영자가 나타나 덕수의 아이를 가졌음을 알리고 둘은 결혼하게 됩니다. 아내와 아이까지 생긴 한가정의 진정한 가장의 된 덕수는 해양대학교에 합격하여 자신의 꿈인 선장이 될 수 있게 되지만 동생 끝순의 결혼 소식을 듣고 본인의 대학 등록금을 선뜻 내어주고 본인의 꿈은 또다시 접게 됩니다. 그는 다시 돈을 벌기 위해 전쟁이 한참인 위험한 베트남에 기술자 일을 지원하여 가게 됩니다. 베트남 수도에 도착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폭탄테러로 죽을 고비를 넘기고 전쟁이 한참인 마을에 들어가 마을 사람들을 도와주다가 허벅지에 총까지 맞고 장애를 안고 귀국하게 됩니다. 나이가 많은 고모네는 더 이상 가게 운영을 할 수 없자 덕수는 꽃분이네를 인수합니다. 가족들을 위해 열심히 살아온 덕수는 이제 아버지와 막순이를 찾기 위해 이산가족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고 전쟁 중 미군에 의해 발견되었던 막순은 미국으로 입양되어 자라면서 분명 자신을 찾고 있을 가족을 애타게 찾다가 드디어 가족 모두의 소원인 막순이를 찾게 됩니다. 아버지의 마지막 말을 지키기 위해 한평생을 가족을 위해 최선을 다해서 살아온 덕수는 아버지에게 자신이 잘했다고 아버지 말 잘 따랐다고 하면서 영화는 끝이 납니다.
리뷰
2014년 개봉한 국제시장은 윤제균 감동의 작품으로 그는 가족 간의 사랑을 잘 표현해내기로 유명하며 대표작으로는 협상, 공조, 히말라야, 해운대, 1번가의 기적, 친구 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가슴 아픈 역사의 한 조각을 덕수라는 인물을 통해 보여주는 영화로 두 시간이라는 시간이 너무도 짧게 느껴졌습니다. 모두가 힘들고 가난하지만 나보다 가족을 먼저 생각하고 동료를 먼저 생각하며 이겨 나갔던 우리 부모님 , 또 그분들의 부모님의 모습에 한없이 감사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보고 나서 저절로 감동의 눈물이 나왔습니다.
장르가 드라마이지만 감동만 주는 게 아니라 재미까지 더했습니다. 영화 속에 등장하는 유명인들의 어릴 적 모습과 젊었을 적 모습을 찾을 수 있는데 천하장사 이만기, 정주영 회장님, 현봉학 박사님, 가수 남진, 앙드레김 이 나오며 특히 남진 역은 가수 유노윤호가 구수한 사투리를 사용하면서 나와 더욱 기억에 남았습니다.
댓글